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28일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여야 의원들이 탄핵 찬반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앞두고 법조계에서는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에 대해서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만장일치 인용 가능성은 물론, 일각에서는 재판관의 성향에 따라 기각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오픈AI 생성형 인공지능인 챗GPT의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탄핵 심판 결과를 전망을 물은 결과, "탄핵 인용 가능성이 약 90%에 달한다"는 예측이 나왔다. 질문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를 어떻게 예상하나"였다.
챗GPT는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 사유는 헌법상 요건 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군을 국회 등에 투입하려 한 위헌·위법 행위에 있다"며 "민주주의와 삼권분립을 훼손한 중대한 헌정질서 파괴로 내란죄까지 적용된 초유의 사례로 평가된다. 탄핵 사유로서 충분한 정당성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재판 과정에서도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체포명단 메모'와 계엄군의 국회 진입 정황이 윤 대통령의 헌법 위반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라고 평가하며 "계엄 선포의 법률적 위반 여부가 명확히 규정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챗GPT는 "헌재가 장기간 평의를 거쳐 선고일을 확정했고, 공개 생중계를 예고한 것을 미뤄보아 재판관들 사이 이견 조율이 상당 부분 이뤄졌다는 신호로 해석된다"고 주장했다.
챗GPT는 헌법·법률 위반의 명백성과 중대성, 탄핵 요건 충족 및 재판부 의견을 종합하면 헌재가 탄핵심판 청구를 인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재판관의 의견 분열 혹은 일부 법리적 판단 차이로 탄핵 기각 결정이 날 가능성도 10% 정도로 예측된다"고 부연했다.
일론 머스크가 출시한 AI 챗봇 '그록'(Grok)에 같은 질문을 던져본 결과 "현재로서는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록은 "선고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법적 쟁점, 증거, 재판관들의 평의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면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의 핵심 사유는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된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다. 국회는 계엄 선포가 위헌적이며, 군을 동원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방해한 행위를 문제 삼았다. 반면 윤 대통령 측은 계엄이 '경고성' 조치였고 법적 절차를 준수했다고 주장한다"고 했다.
이어 "헌재가 계엄 선포의 위헌성을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결정적일 것"이라며 "정치인 체포 지시 여부나 계엄 선포의 정당성에 대한 증인 진술(예: 홍장원 전 국정원 차장의 메모 논란)과 같은 증거의 신빙성이 판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헌재가 어떤 증거를 채택하고, 그 무게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면서 "재판관 구성과 평의: 현재 헌재는 8명 재판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재판관(예: 문형배 권한대행)에 대한 편향성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라고도 했다.
아울러 "헌재가 선고일을 4월 4일로 확정하고 생중계 및 방청을 허용한 점은 이번 결정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평의 기간이 박근혜나 노무현보다 길어진 점은 재판관들 간 의견 조율이 쉽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일부 언론과 전문가들은 인용 5:기각 3, 또는 인용 4:기각 3:각하 1과 같은 엇갈린 예측을 하고 있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