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생성으로 폭발적 2차 성장
그래픽=백형선·Midjourney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로 실사 사진을 만화풍으로 만드는 유행이 AI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오픈AI는 2022년 말 챗GPT를 선보여 생성형 AI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구글·메타 등 빅테크들은 천문학적 투자를 앞세워 AI의 성능을 개선하는 경쟁에 들어갔고, AI는 과학·기술에 큰 변화를 이끌었다. 하지만 정작 일상에서 AI를 활용하는 이는 드물었다. 이번에 ‘챗GPT’에 담긴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사진을 지브리(일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나 디즈니와 같은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꿔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일이 크게 유행하자 AI가 본격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하려는 유료 가입자가 늘어 AI 유료화의 물꼬도 텄다.
그래픽=백형선
◇유료 구독자 2000만명 넘어
오픈AI는 지난달 27일 ‘챗GPT-4o’에 이미지 생성 기능을 결합했다. 언어로 지시하면 사진을 바꿔주거나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준다. 이 기능이 출시된 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자기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 캐릭터처럼 바꿔 X(옛 트위터)에 공개했다. 이 사진이 ‘귀엽다’ ‘따뜻해 보인다’는 호평을 받자 사용자들이 사진을 ‘지브리풍(風)’ ‘디즈니풍’ ‘심슨풍’ 등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바꾼 뒤 소셜미디어에 올리는 ‘놀이’에 동참했다. 이후 챗GPT 사용자가 급증했다. 디인포메이션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가 5억명을 돌파했고, 유료 구독자 2000만명을 넘겼다. 올트먼 CEO는 “26개월 전 챗GPT를 출시했을 때 이용자 100만명 증가에 5일이 걸렸지만, 지금은 단 한 시간 만에 100만명이 늘었다”고 했다.
시장조사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오픈AI가 고급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한 이후 챗GPT의 애플리케이션(앱) 전 세계 다운로드 수와 주간 활성 사용자 수는 전주보다 각각 11%, 5% 늘었다.
이미지 생성 기능을 갖춘 GPT-4o에선 무료 이용자도 하루 세 장까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 생성을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해 챗GPT를 유료 구독하는 이가 크게 늘었다. 업계에선 챗GPT 결제 수익을 바탕으로 추산해 볼 때,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 후 유료 사용자는 일주일 새 6% 증가했다. 유료 고객 1550만명 확보에 20개월가량 걸린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속도다. 업계 관계자는 “업무상 이유가 아니면 유료 고급 모델에 지갑을 여는 이가 거의 없었던 이전과 비교하면 큰 변화”라고 말했다. 오픈AI가 올해 목표로 했던 사용자 10억명 달성은 현실화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AI 대중화와 유료화를 주도함에 따라 AI 시장에선 멀티모달 경쟁이 본격적으로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멀티모달 AI는 언어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다. 구글은 지난해 12월 멀티모달 기능을 강화한 ‘제미나이2.0’ 모델을 발표하고 올해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소유한 AI 기업 xAI는 지난달 AI 비디오 생성 기술 스타트업 ‘핫샷’을 인수했다. 향후 이미지와 동영상 기능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그래픽=백형선
◇인프라·저작권 문제 첩첩산중
‘지브리풍 열풍’은 AI의 대중화·유료화의 물꼬를 텄지만, AI 기업에 새로운 고민도 안겼다. 텍스트와 비교해 데이터 용량이 큰 이미지 사용이 늘어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에 더 많은 돈을 쏟아부어야 한다. 이미지·영상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 사용량은 언어 기반 정보 검색에 비해 최대 10배 정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챗 GPT의 유료 버전인 플러스는 20달러, 프로는 200달러지만, 이 가격으로는 GPU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챗GPT가 지브리나 디즈니 화풍을 똑같이 구사하면서 AI와 관련한 저작권 문제도 논란이 됐다. 지브리풍 AI 이미지의 저작권법 적용 여부는 모호하다. 미국이나 일본의 저작권법은 일반적으로 특정 스타일이 아닌 구체적 표현에 대해서만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오픈AI가 AI를 훈련·학습하는 과정에서 저작권이 있는 작품을 무단으로 활용했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챗GPT 지브리풍
지난달 말 오픈AI의 챗GPT-4o에 이미지 생성 기능이 추가되면서 사용자들이 사진을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는 열풍이 시작됐다. 지브리 스튜디오는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같은 작품으로 유명한데, 색감과 선이 부드러워 인물을 귀엽게 묘사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