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제3차 기초연구전략대화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2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제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완호 기초연구진흥과장, 윤지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허영우 경북대학교 총장, 조광현 KAIST 교수, 오진우 부산대학교 교수, 이창윤 제1차관, 유지범 성균관대학교 총장, 박종훈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이준호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장, 이혁모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 성맹제 중앙대학교 연구부총장.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대화를 이어 나가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집단연구다운 집단연구를 위한 실질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함께 기초연구 전략을 도출하는 '제3차 기초연구전략대화'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제3차 대화는 2월 '기초연구 비전', 지난달 '개인기초연구 지원 체계' 논의에 이어 '대학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집단연구 지원체계'를 주제로 열렸다.
집단연구는 자연과학, 공학, 기초의과학 등 다양한 연구분야를 연구그룹 단위로 육성하는 지원 사업이다. 과기정통부가 1990년대부터 진행해온 선도연구센터가 대표적이다. 선도연구센터는 대학원이 설치된 대학에서 이학, 공학 등 분야의 연구그룹을 선정해 7년간 연 15억원 이상 규모로 지원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24년까지 선도연구센터에 투입된 예산만 4조 1000억원 규모다. 지금까지 463개 센터가 문을 열었고, 이를 통해 8만여편의 SCI급 논문, 7000여개 특허가 배출됐다. 로봇 기업 '레인보우 로보틱스', 인공위성 기업 '쎄트렉아이' 등은 선도연구센터 사업으로 나온 대표적인 창업기업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연구자들은 "집단연구는 개인 연구에 비해 연구 범위가 넓고 연구 성과의 파급력이 크지만, 조정 비용과 협력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며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집단연구는 단순히 연구자가 모여 각자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넘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결합해 도전적이고 파괴적인 연구를 끌어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연구비 상향 조정 △참여 대학 간 지식재산권 공동 소유 및 활용 촉진 △최소 참여 인력 규제 완화 등 개편책을 제안했다.
또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공동 추진하는 '국가연구소(NRL2.0)' 사업처럼 대학 본부 차원의 대형·융복합 연구거점 육성도 필수적이나, 대학 내 연구그룹 차원의 조직화·거점화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더불어 "현재의 집단연구지원사업을 학문 분야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 및 관리체계를 갖추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대화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집단연구 지원사업의 개편안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윤 제1차관은 "대화를 통해 집단연구다운 집단연구, 대학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집단연구를 위한 실질적인 집단연구 지원 체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며 "2026년 예산 편성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이라고 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