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17기의 고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6월 훈련원을 졸업하고 7월부터 실전 경주에 나선 17기. 적응과 실전 감각 끌어 올리기를 돕고자 4회차 동안 신인들로만 경기를 편성했고, 이후부터 선배들과 함께 승부를 치르고 있다. 17기는 데뷔 시즌이었던 지난해 총 29승을 합작했다. 첫 걸음마 치고는 나쁘지 않은 성적. 그런데 올해 고전이 두드러진다. 12회차까지 진행된 올해 총 151차례 경주에서 17기 총 10명이 수확한 1위 횟수는 고작 5번이다.
올해로 2년차를 맞이한 17기, 여전히 선배들과 비교하면 기량-경험의 차이를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역대 기수 2년차 기록과 비교하면 현재 흐름은 초라해 보인다.
상대적으로 느린 출발 반응 속도가 부진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17기의 평균 출발 반응시간은 0.276초 정도다. 매우 나쁜 정도는 아니지만, 상위권 선수들의 평균 출발 반응시간이 0.17∼0.21초인 것과 비교해 본다면 초반 주도권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조미화(B1·0.22초), ◇황동규.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조미화.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이현준.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임건.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이현준(B2·0.23초), 임건(B1·0.24초)는 다른 17기 동기생 평균보다 빠른 기록을 갖고 있다. 황동규(B2·0.16초)는 오히려 상위권 선수보다 빠른 출발 반응속도로 1, 2착 각 1회, 3착 2회 등 좋은 기록을 쓰고 있다. 조미화도 1착 2회, 이현준은 1~3착 각 1회씩을 기록했다.
경주 운영 능력 미숙도 고전 원인. 정식 선수가 된 햇수는 2년차지만, 개월수로 따지면 아직 9개월에 불과하다. 1~2턴 마크 선회 각이 다른데 이 부분을 파악하지 못해 좋은 모터를 배정 받거나 유리한 코스에서 출발함에도 역전 빌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병주(모터보트가 나란히 달리는 형태)에서 상황 대처 능력도 아직은 부족한 모습이다.
예상지 경정코리아의 이서범 경주 분석위원은 "현재 어선규, 심상철, 김완석, 김종민, 김응선 등 최소 11기 이상의 선수들이 다승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는 등 어느 해보다 선배 기수들의 활약이 남다른 상황이기에 신인들이 설 자리가 비좁은 것은 사실"이라며 "위에서 언급한 조미화, 이현준, 임건, 황동규 등은 출발 반응속도가 상위권 선수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좋은 만큼, 인코스를 배정받거나 좋은 모터를 배정받은 경주라면 눈여겨볼 필요가 있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