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개념도. 방사선을 통해 구리 내성과 락카아제 활성을 증진시켜 다양한 합성 염료에 대한 분해 활성을 높인다.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합성 염료, 폐플라스틱 등 독성 물질은 자연 분해가 어렵고 기존 화학 처리 방식도 2차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친환경 기술이 필요한데, 국내 연구진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미생물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선 이용 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받아, 방사선으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친환경 제거할 수 있는 균주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일반적인 친환경 오염물질 제거 방법은 오염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락카아제'라는 효소를 가진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것이다. 박테리아 배양액에 오염물질을 넣으면, 박테리아가 생성한 락카아제 효소가 이를 분해하는 원리다.
기존에는 락카아제를 직접 개량해 정화 효율을 높였지만, 개발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인천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구리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락카아제가 활성화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기존처럼 이 효소를 직접 개량하는 대신, 구리 이온을 통해 락카아제가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을 택했다. 락카아제를 가진 균주의 구리이온 내성을 강화했다.
락카아제 활성을 위해서는 구리 이온을 주입해야 하는데, 일반 균주는 구리 이온이 많아지면 독성이 생겨 생장에 어려움을 겪는다.
균주의 구리 이온 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균주에 존재하는 수십개 유전자 개량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방사선이 한 번에 여러 유전자를 변이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감마선 조사 시설에서 방사선을 조사해 구리 이온 내성을 높이는 기법을 설계했다.
실험으로 대부분 미생물이 생장할 수 없는 10밀리몰(약 600㎎) 농도의 구리 이온에서도 생장이 가능한 균주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만든 새로운 균주는 락카아제 활성도가 기존보다 2.6배 높다. 유전자 분석으로 이 균주의 락카아제 생성, 구리 흡수·배출 과정에 관련된 유전자가 활성화 됐음도 확인했다. 또 다양한 합성 염료를 분해하는 실험에서도 이 균주는 대부분 염료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해했다.
향후 연구팀은 새로운 균주를 기반으로 폐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것은 물론,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등 유용한 기능성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를 추가로 개발해 자원순환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엔바이러멘탈 리서치에 이달 게재됐다.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미생물 기반 친환경 기술은 미래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며 “난분해성 유해물질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해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