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특화 AI로 해외 공략…"LLM 솔라 1.5, 멀티모달 모델 DocVLM 6월 출시"
챗GPT 지브리 이미지 학습 논란에 "불공정한 경쟁…우리는 합법 사업 추구"
사업 계획 밝히는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향후 솔라 대형언어모델(LLM) 개발 및 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5.4.16 jujuk@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기업 업스테이지가 광학문자판독(OCR)과 대형언어모델(LLM)을 결합한 업무용 AI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AI 기술로 아시아 전역으로 소버린 AI 구축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AI 기반 OCR 문서 처리 기술 다큐먼트 파스(DP)와 대형언어모델(LLM) '솔라'를 제시했다.
DP는 문서 파일 내의 텍스트는 물론 안에 있는 그래프, 표까지 사람이 읽는 순서를 고려해 분석할 수 있는 AI다.
업스테이지는 DP가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제공하는 AI 기반 OCR 도구와 비교해 정확도와 속도 면에서 1위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업스테이지의 대표 자체 개발 LLM '솔라'의 개발 상황도 소개됐다.
김 대표는 이달 출시하는 솔라 1.3 버전을 언급하며 "국내 언론사의 데이터를 다수 학습한 모델로, 국내 개발 모델 중 벤치마크 성능이 가장 높다"고 강조했다.
또 "오는 6월 출시 예정인 솔라 프로 1.6은 310억 패러미터 규모로, 벤치마크 결과 720억 패러미터인 중국의 큐원(Qwen) 2.5와 성능이 거의 비슷하다"며 성능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업스테이지는 문서 처리에 특화된 비전언어모델(VLM)인 '솔라 DocVLM'도 출시한다.
업스테이지에 따르면 DocVLM은 메타의 라마(Llama) 4, 구글의 제미나이 2.5 프로가 찾아내지 못한 복잡한 문서 속 데이터를 정확히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김 대표는 "국내 약 2천900만 경제활동인구의 업무 생산성이 단 1%만 향상돼도 연간 약 14조 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며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대학병원 등에 업스테이지의 솔라 프로와 DP 모델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스테이지는 이날 '솔라'를 활용한 글로벌 확장 계획도 밝혔다.
김 대표는 "얼마 전 KT, 태국 자스민그룹과 함께 한국 기업 최초로 해외 소버린 AI 구축에 성공했다"며 "최근에는 미국 지사 '업스테이지 US'를 설립해 S&P 500 보험사 3곳과 도입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일본 사무실도 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베트남, 말레이시아, 몽골, 튀르키예 등 아시아 전역으로 소버린 AI 구축을 확장해 글로벌 톱 AI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질문 답하는 업스테이지 경영진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업스테이지 주요 경영진이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성훈 대표, 이활석 최고기술책임자(CTO), 권순일 사업개발 총괄 부사장, 최홍준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솔루션 부사장, 마츠시타 히로유키 일본 지사장. 2025.4.16 jujuk@yna.co.kr
질의응답에서는 오픈AI의 챗GPT에서 열풍이 인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과 이를 두고 불거진 데이터 저작권 논란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김성훈 대표는 "중국산 모델이나 오픈AI의 경우 이미지를 특별한 저작권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학습을 시켰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런 면에서 우리는 불공정한 (환경에서) 경쟁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희는 합법적으로 사업을 해야 한다고 본다. 현재 미국 Q&A 플랫폼 쿼라(Quora)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정식으로 데이터를 공유받고 있다"며 "학습 데이터에 합리적인 보상을 지급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진다면 우리도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차기 대선 예비후보들이 AI를 주요 공약 의제로 올린 것과 관련해서는 "우리는 물론 네이버 같은 기업도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에서 데이터를 창작하는 분들께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데이터 학습을 풀어주면 좋겠다"며 "큐원 제작에 참여하는 분을 개인적으로 아는데, 데이터를 그냥 쓴다. 오픈AI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학교에 좋은 인력들이 많은데, 우수한 인재들이 한국 AI 기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고리가 마련돼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juju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