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엔비디아가 TSMC·폭스콘 등 대만 기업과 함께 향후 4년간 미국에서 최대 5000억 달러(약 700조 원)에 달하는 인공지능(AI) 하드웨어를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마러라고에서 만나 미국 내 투자와 대 중국 AI 가속기 수출 허가를 논의했다는 소식에 이은 발표다.
미 산타클라라 엔비디아 본사 전경. 사진제공=엔비디아
14일(현지 시간) 엔비디아는 TSMC·폭스콘·위스트론 등과 “미국산 AI 슈퍼컴퓨터를 미국 내에서 처음으로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최신 AI 가속기인 ‘블랙웰’ 칩셋은 이미 TSMC 애리조나 피닉스 파운드리에서 생산에 돌입한 상태다. 엔비디아는 “앰코 및 SPIL(실리콘웨어 정밀산업)과 애리조나에서 패키징 및 테스트 작업에 협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폭스콘·위스트론과는 텍사스에 AI 가속기를 데이터센터용 서버로 제작하기 위한 100만 평방피트(9만3000㎡) 규모 공장을 신설한다. 이 공장은 12~15개월 내에 본격적인 대량 생산에 돌입한다. 또 공장 설계와 운영에 엔비디아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 자동화 로봇도 제작할 계획이다.
엔비디아는 이를 “AI 슈퍼컴퓨터를 미국에서만 생산하는 최초의 사례”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세계 AI 인프라의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구축되고 있다”며 “미국 제조업을 추가함으로써 AI 칩과 슈퍼컴퓨터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를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하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미국 내 생산 강화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영향을 회피하는 한편 대 중국 AI 칩 수출 허가를 받아낸 것으로 보인다. 앞서 테크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엔비디아가 올 1분기만 16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 전용 AI 가속기 ‘H20’ 주문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를 고민하는데 따라 막대한 주문이 자칫 재고로 남을 ‘리스크’로 떠올랐다는 것이다.
이에 황 CEO는 마러라고를 찾아 트럼프와 담판을 지었다고 한다. 9일 미 공영방송 NPR은 황 CEO가 마러라고 만찬에 참석해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자 트럼프 행정부가 H20 수출 제한 계획을 철회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어 채 일주일이 되지 않아 ‘4년 5000억 달러 투자’ 발표가 이뤄지게 됐다.
트럼프도 엔비디아 발표가 자신의 업적임을 내세웠다. 이날 트럼프는 엔비디아가 관세 영향에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며 “이 분야 거의 전부를 장악 중인 엔비디아의 결정은 여러분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발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다만 엔비디아의 ‘투자’는 실제 추가적인 설비 투자가 아닌 발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TSMC는 물론 폭스콘·위스트론·SPIL 등 대만 기업이 미국 내 공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물량’을 채워주며 황 CEO의 고국인 대만을 지원하는 한편 미국 내 투자라는 명분도 챙기는 전략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주요 클라우드 빅테크의 올해 AI 인프라 투자액이 전년보다 44% 늘어난 총 371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 중이다. 블룸버그는 “5000억 달러라는 수치는 엔비디아가 AI 공급망에 판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제품의 총 가치로 대형 클라우드 기업들이 최신 장비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실리콘밸리=윤민혁 특파원 beherenow@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