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사 2번째 탄핵 불행한 일…남은 2개월간 최선 다할 것"
"GPU 수급 늦으면 기술력 4년 뒤처져…1차 추경 서둘러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헌정사상 2번째 대통령 탄핵으로 국정 공백이 예상되는 가운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장관으로서의 남은 임기 동안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꼭 만들겠다"며 "누가 (차기) 장관이 되더라도 범부처 협력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유 장관은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 대국민 보고 브리핑에서 이처럼 말했다.
유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헌정사상 2번째로 탄핵돼 헌정 중단이 된 불행한 일이 발생했다"며 지난 4일 발생한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언급했다. 그는 "대선을 2개월 내 치러야 하는 만큼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았지만 남은 기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정보통신 분야 발전은 멈출 수 없고, 차질이 생겨서도 안 된다"며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그는 남은 임기 내 반드시 성취할 과제로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과 'AI(인공지능) 인프라 확보'를 강조했다.
유 장관은 "기술사업화는 지난 30년간 과학기술 현장에서 염원하던 정부 사업이었는데, 장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모두 이루긴 어려워도 다음 정부가 이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꼭 만들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기술사업화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기술 실증 등을 위한 후속 R&D(연구·개발) 및 금융 지원 등을 확대하는 게 골자다. 유 장관이 지난해 열린 과기정통부 정책 브리핑에서도 "기술사업화에 장관직을 걸겠다"고 했을 정도로 기술사업화는 최근 과기정통부가 집중적으로 추진해온 핵심 사업이다.
그는 "기술사업화는 범부처 협동이 아니면 풀 수 없는 문제"라며 "전 부처의 자원을 모두 부어야 하며, 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심장도 확보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떤 정권이든, 누가 장관이 되든 이 문제를 꼭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AI 핵심 인프라인 GPU(그래픽처리장치)의 안정적 확보도 과기정통부의 주요 목표다. 유 장관은 "GPU 구매가 매우 시급한데 추경 없인 올해 GPU를 수급할 수 없다"며 "그러면 우리 대학, 연구소, 기업이 AI 부문에서 많은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할 기회를 놓치고, 앞선 국가에 비해 4년여 뒤처져 (선진 기술을) 2030년까지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른 시일 내 1차 추경이라도 빠르게 완수해 영남 산불을 포함한 여러 문제가 해결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AI의 중요성이 부각되자 일각에선 AI와 디지털 분야만 전담으로 다루는 정부 조직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된 바 있다. 유 장관은 "정책은 다각도에서 접근해야 하는 만큼 AI만 떼어내 새 부서를 만드는 건 썩 바람직하진 않다"고 했다. 그는 "과기정통부가 AI를 비롯해 AI와 결합한 바이오, 양자기술 등 전략기술을 이끌어가는 부서인 만큼, 중요한 사회적 안건을 이끌 수 있도록 다음 정부에서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