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직자들이 보유한 재산이 공개됐습니다. 중앙과 지방의 고위공직자 2천여 명의 평균 재산은 20억 6천만 원으로, 70퍼센트는 1년 전보다 재산이 늘었습니다. 국회의원 299명의 평균 재산은 이보다 많은 32억 7천만 원인데, 역시 많은 의원들이 재산이 불어났습니다. 헌법재판관 8명 가운데서는 지난해엔 변호사라 공개 의무가 없던 조한창 재판관을 뺀 7명이 평균 27억 원을 신고했는데, 그중 이미선 재판관이 가장 많은 75억 2천만 원을, 김복형 재판관이 가장 적은 7억 5천만 원을 각각 신고했습니다.
손기준 기자가 이 내용 정리했습니다.
<기자>
여야 잠룡들은 재산을 얼마로 신고했을까.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30억 9천만 원으로, 1년 전과 비슷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4억 원 넘게 늘어난 74억 원.
엔비디아 같은 미국 주식에 투자했다가 주가가 오른 게 재산 증식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35억 1천만 원, 홍준표 대구시장은 42억 6천만 원이었습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0억 7천만 원으로 신고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이 창업한 안랩 주식 1천231억 원어치를 포함해 1천367억 9천만 원을 보유해서 국회의원 중 재산 1위였고,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14억 7천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국회의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적은 의원은 금융 채무 등으로 마이너스 11억 원을 신고한 민주당 정준호 의원입니다.
집을 두 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 의원은, 의원 다섯 명 가운데 한 명꼴인 64명이었고, 비트코인이나 훈민정음해례본 NFT 같은 가상자산, 페라리, 포르쉐 등 억대의 승용차, 고가의 예술품이나 보석류를 신고한 의원도 있습니다.
광역단체장 17명 가운데 7명은 수도권에 아파트를 보유 중인데, 지방 분권을 외쳐왔단 점에서 모순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공직자가 아니라 재산공개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재산신고 기간에 구금 상태였기 때문에 신고가 유예됐는데 지난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직 대통령이 빠진 건 처음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공진구, 영상편집 : 이재성)
손기준 기자 standar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