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감소…청소년·유아동은 증가
(과기정통부 제공)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실태조사 결과 2024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 접근성 등이 개선됐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웹 접근성 실태조사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등의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디지털 접근·역량·활용 수준별 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국민 대비 디지털 취약계층(저소득층·장애인·농어민·고령층 등)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측정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일반국민과 디지털 취약계층을 포함하여 전국 17개 시·도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2024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대비 77.5%로 전년 대비 0.6%p 상승했다. 최근 5년 동안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
부문별로는 △디지털 접근 수준은 96.5%(전년동), △디지털 역량 수준은 65.6%(+0.5%p) △디지털 활용 수준은 80.0%(+1.0%p) 등으로 모든 부문에서 전년과 같거나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도 고령층이 71.4%(+0.7%p), 농어민 80.0%(+0.5%p), 장애인이 83.5%(+0.7%p), 저소득층이 96.5%(+0.4%p)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향상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웹사이트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8개 업종의 웹사이트 1000개를 임의 추출해 접근성 지침 준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조사 결과 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점수는 66.7점으로 전년 대비 0.9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인다.
업종별로는 '교육서비스업' 분야 웹사이트가 76.9점으로 가장 높게, '부동산업' 분야 웹사이트는 60.5점으로 전년과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규모별로는 50~99명 규모의 사업체가 7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는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았다.
(과기정통부 제공)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국민의 스마트폰 이용 행태를 조사하여 과의존 현황을 파악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전국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지난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의 비율은 22.9%로 전년(23.1%) 대비 0.2%p 감소하였다.
연령대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청소년(만10~19세) 42.6%(+2.5%p), 유아동(만3~9세) 25.9%(+0.9%p)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성인(만20세~59세, 22.4%)과 60대(11.9%)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동 실태조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와 웹사이트의 접근성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조사의 세부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