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바브웨 출신 여성 수영 금메달리스트 커스티 코번트리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첫 여성·아프리카 출신 위원장으로 선출된 커스티 코번트리 /사진=IOC X 계정
짐바브웨의 여자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인 커스티 코번트리(41)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첫 여성 및 아프리카 출신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IOC는 20일(현지시간) 그리스 코스타 나바리노에서 열린 제144차 IOC 총회에서 진행된 비밀 투표에서 코번트리가 과반수를 득표하며 7명의 후보 중 위원장으로 당선됐다고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코번트리는 97표 중 49표를 얻었다.
유력한 후보였던 제7대 IOC 위원장인 후안 안토니오 사마린치의 아들 후안 안토니오 사마린치 주니어와 세계 육상연맹 회장 세바스찬 코의 득표수는 각각 28표, 8표였다.
코번트리는 위원장으로 선출된 직후 총회 연설에서 "매우 영광스럽고 기쁘다. IOC 최초의 여성 위원장이자 아프리카 출신 최초의 위원장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며 "이 투표가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오늘 유리 천장은 깨졌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선출은 IOC가 진정한 글로벌 조직으로 발전했고,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조직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라며 "스포츠는 모두를 하나로 묶어주고, 모든 이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 저는 그 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코번트리는 2004 아테네 올림픽과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여자 수영 배영 200m와 800m에서 금메달을 딴 올림픽 챔피언 출신이다. 올림픽 메달만 7개(금 2, 은 4, 동 1)다. 2012 런던 올림픽 기간에 IOC 선수 위원으로 당선됐고 2023년에는 IOC 집행위원 자리에 올랐다.
로이터통신, BBC 등 주요 외신은 이번 투표 결과를 "IOC와 세계 스포츠에 획기적인 순간이자 올림픽 역사에서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간 IOC 위원장은 모두 남성이었으며 IOC는 유럽 남성 중심의 보수적인 국제조직으로 평가받았다. 이번 위원장에 도전한 7명 후보 중 코번트리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의 후보도 모두 남성이었다.
코번트리는 6월24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해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 2028년 로스앤젤레스(LA) 하계 올림픽을 맡을 예정이다. 한국 전라북도가 도전장을 낸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투표도 코번트리가 주도하는 IOC 총회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IOC 위원장의 임기는 8년이고, 4년 연장이 한 차례 가능해 최장 12년간 위원장 활동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