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현 세미파이브 대표
반도체 설계, 도면으로 구현
자체 기술로 비용·시간 절감
영상 플랫폼 AI 칩 설계 등
맞춤형 반도체 제작도 가능
여러 기능 반도체 결합한
'칩렛' 기술 고도화 나서
조명현 세미파이브 대표가 매일경제와 만나 AI 시장 미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일반 반도체 외에도 제조업, 인터넷, 영상 등 고객 기업 맞춤형 인공지능(AI) 칩 설계 능력이 강점이죠."
조명현 세미파이브 대표가 최근 경기 성남시 야탑동 본사에서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회사 경쟁력에 대해 "디자인 플랫폼으로서 팹리스를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AI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는 단계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전자공학 석사와 박사를 취득한 조 대표는 첫 직업으로 엔지니어가 아닌 컨설턴트를 선택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경영 전략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조 대표는 AI 시대 맞춤형 반도체에 눈을 뜨게 됐고, 2019년 세미파이브를 창업했다. 당시 디자인 하우스로 출발한 세미파이브는 팹리스와 파운드리를 연결하는 회사다. 팹리스 기업이 설계한 컴퓨터·반도체 역학구조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이 실제 제조할 수 있게 물리적인 도면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 플랫폼은 이에 대해 자체 지식재산권(IP) 등을 바탕으로 직접 반도체 설계까지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형태다.
세미파이브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의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SP)로서 국내외 팹리스 기업의 AI 반도체 제조에 협력하고 있다.
세미파이브는 전문 기술을 요하는 IP는 글로벌 기업과 제휴해 확보하고, 여러 AI 반도체 개발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IP는 자체 개발해 묶음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팹리스 기업이 반도체를 설계하고 파운드리에서 생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조 대표는 "세미파이브 플랫폼을 사용하면 시제품 칩 제작비를 종전 대비 3분의 1로, 제작 기간은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객사도 팹리스 반도체 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 자체 AI 반도체가 필요한 기업이라면 모두 세미파이브의 잠재 고객이다. 조 대표는 "자체 반도체를 만들고 싶지만 대규모 투자를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AI 반도체 시장이 양적 성장과 다변화를 거듭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단순한 AI 연산칩이 아니라 고속 인터페이스, 온칩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요소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AI 칩은 단순한 연산 블록이 아니다"며 "라스베이거스가 호텔만 있다고 존재하는 게 아니듯, 반도체도 다양한 기술이 결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세미파이브는 연산, 저장, 통신 등 서로 다른 기능의 칩을 별도 제작한 후 하나로 조립하는 '칩렛'의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칩의 설계와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데다 전력 소모량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칩렛 시장은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이 각자 독자적인 방식을 추구하는 단계다. 한편 세미파이브는 지난해 수주액이 전년 대비 45%나 늘었고, 연결 매출액 1000억원도 달성했다. 이러한 성장 모멘텀을 바탕으로 기업공개(IPO)도 준비하고 있다.
[이윤식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