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판 짜는 네카오] ③ 경영진 리스크에 고전하는 카카오... 네이버는 포털 이슈에 골머리
[편집자주] 네이버와 카카오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하고 있다. AI를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삼아 성장 동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 얼어붙은 주주들의 마음을 돌려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하지만 카카오는 경영진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았고 네이버는 중국 이커머스 공세와 포털 이슈 해결이 시급한 상황에 놓여 고심이 깊다.
카카오 신사옥 아지트 외부 전경. /사진=카카오
▶글 쓰는 순서
①네카오의 새로운 탈출구... 군살 빼고 AI 전면에
②AI 강조한 네카오… 주가 부양 성공할까
③같은 듯 다른 네카오의 뇌관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가 성장 동력을 키우기 위해 애쓰지만 대내외 악재로 힘이 빠진다. 카카오의 경우 경영진 사법 리스크가 지속되면서 성장 동력이 소진되는 상황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대적인 쇄신을 천명했지만 논란에 휩싸인 일부 임원들을 그대로 중용하면서 실질적인 성과가 부족하다는 평가다. 혁신을 위해 출범한 외부 감사기구의 존재감마저 흔들리면서 환골탈태 의지는 미궁 속이다.
상대적으로 네이버는 안정적이지만 해외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의 공세와 국내 1위 포털 '네이버'를 둘러싼 외풍이 뇌관이다. 애써 다져온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알리와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가세로 치열한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됐고 정치권과 언론의 관심을 받고 있는 포털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
경영진 리스크에 환골탈태 약속했지만 쇄신 의지 '의문'
━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과 김소영 준법과신뢰위원장이 지난해 11월 회동한 모습. /사진=카카오
카카오는 지난해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의 '시세조종' 혐의로 김범수 창업자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사법 리스크에 시달리며 창사 이래 최대를 위기를 맞았다. 최근 카카오와 공모해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사모펀드 대표가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지기도 하는 등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김범수 창업주가 직접 나서 기술 기업으로 돌아가겠다며 대대적인 혁신 계획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김 창업주는 글로벌 사업 발굴 등을 위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있었지만 지난해 10월부터 쇄신 작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후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외부 준법 감시 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가 탄생했다. 김 창업주는 "나부터 준신위의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며 "그렇지 않은 계열사의 행동이나 사업에 대해서는 대주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며 전권을 약속했다.
올해 2월 준신위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회복'의 세 가지 의제와 세부 개선방안을 3개월 내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이어 경영진의 평판 리스크를 방지하라는 의견까지 추가로 전달했다.
하지만 카카오는 주변의 비판과 준신위의 권고에도 카카오뱅크 먹튀 논란의 주역인 정규돈 정규돈 전 카카오뱅크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본사 CTO 자리에 앉혔다.
정 CTO는 과거 카뱅 먹튀 논란을 불러일으킨 경영진 중 한 명이다. 그는 카뱅이 상장한 지 3거래일 만인 2021년 8월10일 보유주식 11만7234주 중 10만6000주(주당 6만2336원)를 팔아치워 약 66억원을 챙겼다.
카카오는 정규돈 CTO가 회사의 복잡한 서비스들을 위한 기술 이해와 제1금융권의 기술안정성 수준을 구축한 경험이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불과 몇 달 전 약속한 쇄신 의지에 비춰보면 아쉬운 결정이라는 비판이 뒤따른다.
환골탈태를 천명한 카카오가 여론의 반대를 무릅쓰고 정 CTO를 임명하면서 쇄신 경영이 동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범수 창업주까지 사명 교체를 언급할 정도로 강도 높은 변화를 천명했지만 이번 임명으로 준신위가 유명무실해진 것이다.
━
인사 논란 없는 네이버, 포털 이슈와 中 이커머스 공세로 곤혹
━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사진=뉴스1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인사 논란은 없지만 제휴평가위원회로 인해 고심이 깊다. 뉴스 매체의 포털 네이버 입점을 심사 관리하는 제평위가 지난해 5월 활동을 중단한 이래 방향성을 두고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포털 입점 여부가 언론사 영향력에 절대적인 만큼 현행 미디어 환경의 최대 이슈로 꼽힌다. 특히 총선을 앞두고 여론 흐름에 민감한 정치권의 파상공세도 이어졌다. 연일 가짜뉴스와 여론 조작 의혹 등을 제기하며 포털의 공정성을 제대로 세우라는 압박이 거셌다.
네이버는 제평위 2.0 준비를 위한 뉴스혁신포럼을 세우고 1분기 내에 종합적인 계획안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이라는 대형 정치적 이벤트가 끝난 시점에서 제평위 관련 작업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인 '하이퍼클로바X'의 뉴스 데이터 무단 도용 논란도 넘어야 할 산이다. 언론계는 지난해 공개된 하이퍼클로바X가 매체의 뉴스 콘텐츠를 자의적으로 학습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네이버와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 제휴 약관에 비춰볼 때 뉴스를 하이퍼클로바X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는 행위는 약관이 정한 사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란 주장이다.
네이버는 주요 사업 중 하나인 AI가 해당 논란으로 위축되면 미래 먹거리 창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언론사와의 상생 방안을 마련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도 안전하지 않다. 네이버 전체 매출의 26.3%를 차지하는 커머스 사업은 최근 알리·테무·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의 도전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입점·판매 수수료 무료, 무료 배송·교환 정책 등을 내세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지난 4월15일 AI기술로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고도화 하는 동시에 3개월 동안 신규 이용자에게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이용자 확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매출이 국내 상륙 6개월 만에 130% 이상 증가하는 등 한국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네이버의 커머스 사업이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진원 기자 newsmans12@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